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퇴근 후 2시간, 나를 키우는 직장인의 자기계발 루틴 만드는 법

자기계발

by 일어나go 2025. 3. 26. 21:34

본문

728x90

 

퇴근 후 2시간, 나를 키우는 직장인의 자기계발 루틴 만드는 법

 

 

사이드 프로젝트와 공부 루틴으로 인생을 조금씩 바꾸는 법

( 본업 외 시간에 개인적으로 기획하고 실행하는 프로젝트)

 


퇴근 후 2시간은 단순한 여유 시간이 아니라, 미래를 바꾸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.

오늘 글에서는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퇴근 후 2시간 루틴을 소개합니다. 사이드 프로젝트나 자기 계발을 시작하고 싶은데 방법을 몰랐다면, 이 글에서 실제 루틴과 적용 팁을 확인해 보세요.

 


 

 

 

1. 퇴근 후 2시간이 중요한 이유

아침 일찍 일어나 하루를 회사에 바치고 나면, 나에게 오늘 하루 남는 시간은 사실상 단 2시간 남짓입니다.

이 시간 동안 우리는 자유지만, 동시에 너무 피곤하고 지쳐 있기도 합니다.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이 시간을 넷플릭스나 유튜브, 스마트폰 게임에 쓰곤 합니다.

 

하지만 이렇게 무의미하게 보낸 시간이. 하루 2시간이면, 일주일에 14시간이고, 1년이면 730시간입니다. 이는 한 달 반에 해당하는 업무 시간입니다. 그 시간 동안 우리는 어떤 것도 만들 수 있고, 어떤 것도 배울 수 있습니다.

 

사소해 보이지만 이 2시간이 쌓이면, 그 차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아주 크게 벌어집니다. 퇴근 후 시간을 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사이에는 삶의 방향성부터 확연히 달라지게 됩니다.

 


 

 

2. 퇴근 후 2시간 루틴 만드는 법

퇴근 후 2시간, 누구에게나 주어지지만 활용하는 방식은 사람마다 크게 다릅니다. 이 시간을 무작정 보내다 보면 어느새 피곤함만 남고, 하루를 허무하게 마무리하게 됩니다. 반대로 조금만 구조화해 두면, 이 시간은 자기 계발이나 사이드 프로젝트를 실현하는 핵심 시간이 될 수 있습니다.

 

아래 3단계를 따라 루틴을 만들어보세요.

 

(1) 목표를 ‘작고 구체적으로’ 설정하기

많은 분들이 루틴을 실패하는 가장 큰 이유는 ‘크고 막연한 목표’를 세우기 때문입니다. 예를 들어 “영어 공부해야지”, “개발자 포트폴리오 만들어야지” 같은 생각은 시작조차 어렵게 만듭니다. 루틴의 시작은 ‘작고 가벼운’ 목표 설정입니다.

 

  • ❌ 영어 공부하기 → ⭕ 오늘은 단어 10개 외우기
  • ❌ 블로그 운영 →  ⭕오늘은 블로그로 하루 일상 적어보기
  • ❌ 코딩 공부 →  ⭕파이썬 if문 예제 2개 풀기

실행까지 10초 안에 시작할 수 있을 정도로 목표를 쪼개야 매일 실천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(2) 시간대를 정해서 습관처럼 반복하기

퇴근 후 시간이 일정하지 않으면 루틴을 만들기 어렵습니다. 저녁 약속, 야근 등 변수는 있지만, 기본적인 ‘내 시간대’를 정해두는 것만으로도 절반은 성공입니다.

 

예를 들어:

  • 19:00~19:30 저녁 및 가벼운 휴식
  • 19:30~21:00 루틴 타임 (공부/글쓰기/학습 등)
  • 21:00~21:30 정리 및 하루 돌아보기

이 시간대를 캘린더에 고정적으로 넣어두고, 핸드폰 알람으로 미리 알려주면 흐름을 만들기 쉬워집니다. 처음에는 90분이 부담스럽다면 30분 루틴부터 시작해도 괜찮습니다.

 

 

(3) ‘앉기만 하면 할 수 있는 환경’ 만들기

루틴은 의지보다 환경이 좌우합니다. 피곤한 몸을 끌고 뭔가 하려면 최소한의 진입장벽이라도 낮춰야 합니다.

  • 책상 위를 미리 정리해 두고, 공부 앱이나 웹사이트를 바로 열 수 있게 해두기
  • 유튜브 대신 Notion, 블로그 에디터를 자동으로 열리게 설정하기
  • 사용할 도구를 미리 꺼내 두기 (책, 노트북, 이어폰 등)

“앉기만 하면 바로 시작할 수 있는 상태”를 만들어두는 것, 이게 루틴 유지의 핵심입니다. 그리고 그 환경은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절대 저절로 생기지 않습니다.

 

 

(4) 할 수 없는 날도 루틴으로 인정하기

중요한 팁 하나, 루틴은 완벽해야 유지되는 게 아닙니다.
어떤 날은 10분밖에 못할 수도 있고, 어떤 날은 아예 못 할 수도 있습니다. 그럴 땐 '아, 오늘은 놓쳤네'로 끝내는 게 아니라, 10분만 책상에 앉아 다이어리 한 줄 쓰는 것으로 루틴을 연결하세요.

 

이런 작은 연결 고리가 결국 ‘나는 매일 뭔가 하고 있다’는 자기 효능감을 만들어줍니다.

 

 

마무리 꿀팁

  • 처음에는 루틴을 하루에 하나만 정하세요. (공부 하나, 글쓰기 하나 등)
  • 루틴 내용을 기록하세요. 3일만 지나도 자기가 뭘 했는지 기억 못 합니다.
  • 루틴이 잘 안 지켜지는 날에는 ‘왜 안 됐는지’ 기록만 해보세요. 그것만으로도 루틴은 이어집니다.

 

이처럼 루틴은 멋지고 완벽하게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, 작고 현실적인 행동을 꾸준히 연결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퇴근 후의 2시간, 아주 작게라도 방향이 정해지면 그 하루는 절대 허투루 끝나지 않습니다.

 


 

 

3. 루틴에 사용할 앱/도구 추천

아무리 의지가 강해도, 퇴근 후에 몸도 마음도 피곤한 상황에서 루틴을 지키기란 쉽지 않습니다. 그래서 도구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 아래는 퇴근 후 루틴을 도와줄 유용한 앱과 도구 추천입니다.

 

(1) 집중력 유지용 앱

  • Forest: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앱. 타이머를 작동시키면 가상의 나무가 자랍니다. 앱을 종료하면 나무가 죽기 때문에 집중 유도에 효과적입니다.
  • Focus To-Do: 뽀모도로 기법과 할 일 관리가 결합된 앱입니다. 시간 단위로 할 일을 나눠서 처리하기 좋습니다.

(2) 기록 및 계획 도구

  • Notion: 자기 계발 기록, 일일 루틴, 사이드 프로젝트 정리 등에 유용한 올인원 도구입니다. 템플릿을 활용하면 초보자도 쉽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.
  • Google Calendar: 시간 단위 루틴 관리에 좋습니다. 매일 루틴을 정해 반복 설정해 두면 습관처럼 익혀집니다.

(3) 학습 및 콘텐츠 제작 도구

  • 유데미(Udemy): 다양한 온라인 강의를 비교적 저렴하게 수강할 수 있습니다.
  • 티스토리/브런치: 글쓰기, 정리, 콘텐츠 제작을 하기에 좋은 플랫폼입니다. 자신의 지식을 정리하고 포트폴리오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
 

 

4. 실제 퇴근 후 루틴 예시

 

퇴근 후 2시간, 막상 뭘 해야 할지 막막한 분들을 위해 현실적인 예시를 소개드립니다. 중요한 건 대단한 걸 하는 게 아니라, “지금 내가 할 수 있는 만큼”을 조금씩 해보는 것입니다.

 

요일 활동 예시
월요일 오늘 하루 기록 (Notion이나 메모앱에 간단한 일기)
화요일 유튜브로 20~30분 학습 영상 보기 (예: 영어회화, 코딩 기초 등)
수요일 가볍게 독서 20분 + 인상 깊은 문장 1줄 기록
목요일 관심 있는 주제로 글쓰기 시도 (네이버, 티스토리 블로그 초안 쓰기, 메모 정리 등)
금요일 이번 주 한 일 돌아보기 + 주말 할 일 정리
주말 루틴 점검 또는 쉬는 날 (쉼도 루틴의 일부입니다)

 

하루에 딱 한 가지, 그것도 30분만 해도 충분합니다. 작은 성취가 쌓이면 자존감도 오르고, 어느새 꾸준함이 만들어집니다.

 


 

 

마치며.

 

저는 사실 대단한 사람은 아닙니다. 퇴근 후에 소파에 눕고 싶은 마음을 겨우 참으면서, 하루에 한 줄이라도 글을 써보자고 버텼을 뿐입니다. 어떤 날은 실패했고, 어떤 날은 그냥 멍하니 있다가 잠들기도 했어요.

 

그런데 돌아보면, “그래도 다시 시작했다”는 그 자체가 저를 조금씩 바꿔주더라고요.

 

누구나 다 열심히 살고 있습니다. 그래서 무조건 열심히 하라고 말할 수는 없어요. 다만, 조금이라도 여유가 생긴다면 그 시간에 나를 위한 무언가를 해보세요.


정말 조금씩, 아주 천천히 나아가도 됩니다. 그 속도가 중요한 게 아니라, 방향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니까요.

당신의 퇴근 후 2시간이, 생각보다 더 멋진 내일을 준비하는 시간이 되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.

728x90

관련글 더보기